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금융
- 뮤아크엔젤
- 레데리2공략
- 노트북구매가이드
- RTS
- 뮤이그니션2
- V4
- 프로프레젠터7
- 주식
- 정보
- 롤플레잉
- 블루스크린
- 마운트앤블레이드2
- 윈도우
- 15인치이상
- 모바일게임
- 에드워드콜스턴누구
- 한성모니터정보
- 스마트폰
- 텔레그램
- 카오스모바일
- 노예무역콜스턴
- 오류
- 박사방
- 노예무역상
- 에드워드콜스턴이란
- 일상
- 게임
- n번방사건
- 모바일팁
- Today
- Total
옷방의 남자
뮤 아크엔젤 경매장, 돈벌생각 있다면 접는게 좋아 본문

'무과금에게 스트레스를 주지않겠다.'
이것으 뮤 아크엔젤의 게임 운영방침이다. 실제로 이에 대한 움직임으로 VIP 시스템을 단순 퀘스트를 통해서 등급을 업할 수 있다는 부분으로 해놨다고 하는 것 자체가 충분히 여태까지 과금러들의 분노를 일으켰던 VIP 시스템의 새로운 변화라고 할수가 있다.
하지만 이 와중에 작업장과 필자처럼 경매장으로 돈좀 벌어보려고 하는 유저들에게는 한가지 불멘소리 터져나올 만한 부분이 있다. 바로 경매장으로는 돈을 벌 수 없다는 점이다.
뮤 오리진에서는 젠과 다이아 이 두가지를 통해서 엑설런트 템들을 쉽게 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물론 시간이 지나면서 템들이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운영자는 게임운영을 접었는지 모르겠지만 결정적으로 아이템 인플레이션을 막지 못하고 결국 경제시스템 붕괴 고인 유저들만 남고 나머지 유저들은 떠나게 되었다.
그렇다보니 뮤 오리진1과 2는 모두 경제시스템 붕괴라는 길을 걸으며 천천히 무대 뒤로 퇴장을 했다. 물론 그 사이에 뮤 IP를 이용한 게임이 한두가지만 나온게 아니다. 웹게임 뮤 이그니션 1과 이그니션 2를 필두로 하여 뮤라는 게임을 유저들에게 꾸준히 알려준 게임이 징검다리 처럼 있었지만 그 사이 뮤 아크엔젤이라는 게임을 내어놓기로 하고 경매장 및 VIP 시스템에 대한 기대감을 꾸준히 증폭시키며 혜성처럼 등장을 했건만!
그놈의 경매장 가격 상한제와 하한제

이것은 무슨 말이냐 하면 가넷을 얻기 위해서는 월드경매라는 것을 이용할 수가 있는데 가넷으로 거래를 할 수가 있다. 가넷은 여러가지 경로로 얻을수가 있는데 자동사냥을 통해서는 쥐꼬리만큼 얻을수가 있고 월드 보스를 퇴치하면 얻을수가 있게끔 설계를 해두었다. 물론 재화를 제한 적인 방법으로 습득할 수 있게 한 것은 괜찮다고 볼수가 있다. 하지만 문제점이 있었으니 정가에만 판매할 수 있도록 해둔 것이다.
아무리 좋은 템이 있다고 하더라도 더 비싸게 더 저렴하게 판매할 수 있도록 유저가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게임내에 이미 설정해둔 금액으로만 판매를 할 수 있다. 상점과 같은 것이다. 물론 유저들이 참여하여 경매에 붙일수는 있으나 이는 최대값보다 살짝 싸게 구매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일뿐 유저들이 비용을 회수할 수 있도록 고안된 시스템은 아니다. 뮤이그니션2의 업그레이드 판 경매장이라고 볼수가 있다.
물론 게임성을 보고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유저들에게는 해당안되는 말일테니 공감을 할수가 없겠지만 필자에게 중요한 것은 게임에 투자한 시간과 비용을 회수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뮤 아크엔젤 손대다가 다시 리니지2m으로 되돌아간 필자였다.
리니지2M을 빨려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다이아를 회수할 수 있는 시스템 환경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필자가 투자한 두배의 금액의 수익을 올리게 되어 나름대로 무과금이지만 열심히 키웠다.
결론 [무과금은 환영]
뮤 아크엔젤에서는 비용을 들인만큼 회수할 수 는 없는 게임이다. 만약 필자와 같은 입장이라면 아크엔젤은 그냥 하지 않는 편이 좋다. 오히려 무과금이 환영받는 체계이기 때문이다.
무과금이라고 하더라도 불리함을 느낄수가 있다 그것은 바로 펫시스템때문이다. 펫이 엄청난 능력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회사 수익성도 고려한 과금체계를 갖고 있다. 회사가 돈을 벌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지만 유저들에게도 그 재화가 돌아가도록 하는 것도 게임을 오랫동안 유지시켜주는 대목이지만 아크엔젤은 단순히 컨텐츠만 소모하게 할뿐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V4는 키우기가 무진장 어렵긴 하지만 막상 돈을 들여서 키우면 나중에 뽑을 수 있는 게임으로 유명하다. 인내심 가지고 키우다보면 알것이다.
'일상칼럼 > 게임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람의 나라 연 거래소 드디어 오픈하나? (0) | 2020.07.23 |
---|---|
바람의 나라 연 뢰진도와 번개부적 얻는 방법? (0) | 2020.07.19 |
에픽게임즈의 무료게임을 미리 알아보는 방법? (0) | 2020.06.22 |
레데리2 한영전환 오류 해결하는 방법 (3) | 2020.06.15 |
레데리2 빠른이동에 대한 총정리를 해본다. (0) | 2020.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