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뮤이그니션2
- 텔레그램
- 15인치이상
- 에드워드콜스턴이란
- 노예무역상
- 한성모니터정보
- n번방사건
- 노예무역콜스턴
- 일상
- 뮤아크엔젤
- 윈도우
- 모바일팁
- RTS
- 스마트폰
- 프로프레젠터7
- 롤플레잉
- 오류
- 금융
- 정보
- 레데리2공략
- 블루스크린
- 박사방
- 게임
- 카오스모바일
- 마운트앤블레이드2
- 노트북구매가이드
- 모바일게임
- 에드워드콜스턴누구
- 주식
- V4
- Today
- Total
목록윈도우 (4)
옷방의 남자

텔레그램에서 한국어에 대해서 많이 소홀한 것 같은 기분이 든다. 한국어 사이트로 기껏 진입을 했더니 다운로드가 안되고 이상한 메시지만 출력을 하고 있다. 물론 네이버를 자주 이용하면 이러한 불편함을 겪지는 않겠지만 말이다. 어쨌거나 텔레그램 한글 버전 다운로드 사이트를 직접 안내를 해야 겠다고 생각하여 여기에 링크를 해본다. 사진은 총 4개가 있는데 사진이 아닌 밑에 있는 글자에 링크를 걸어두었다. 클릭하면 각 다운로드 링크로 들어가도록 만들어놨다. 나의 편의성을 위해서 진행을 하였지만 텔레그램 한글 버전을 검색해서 나오는 사이트로 들어갔다가 링크짤림 현상에 대실망을 한 분들과 헛걸음을 하여 애매한 상황을 맞이한 분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텔레그램 한글버전 링크 (각 글자를 누르면 링크가 된다)..

동영상으로 압축설명했으니 참고하시길 바란다. 코드는 0x00000001, 나는 너를 알고 싶다. 블루스크린이라고 하는 것은 언제부터인지... 많은 사람들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곤 하였다. 필자 역시 새로운 그래픽카드를 교체할 때마다 봤었고, 사운드 카드를 교체할때도 많이 봐왔다. 물론 그때마다 드라이버 충돌로 인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기에 표정하나 바뀌지 않고 모든 문제를 해결을 했었다. 그러나 오늘 살펴보는 APC_INDEX_MISMATCH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볼까 한다. 도대체 어디서 문제가 시작이 된 것이고 어떤 부분을 유의하여 봐야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APC는 전원관리 문제이다. 우선 위에서 이야기 하는 것을 그대로 직역을 해본다면 전원관리 색인이 매치가 되지 않는다라는 뜻이다. 즉..

요즘에는 블루스크린을 보는 사람보다 안 본 사람을 찾는 것이 훨씬 어려운 것 같다. 그러한 의미에서 블루스크린의 다양한 오류들을 맞이 했을때에 나타나는 여러가지 반응들을 지켜보는 것도 하나의 묘미인것 같다. 그러한 의미에서 오늘은 KERNEL이라고 하는 것을 살펴보고자 한다. KERNEL이란 무엇인가? 이 어려운 용어의 의미를 이야기 하려면 한참 걸리기 때문에 초보자들 입장에서 바라봤을때에 설명하는 사람이 대략적으로 알려줄 필요가 있다. 그래야 이해를 할 수가 있을 것이다. [커널]은 윈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통제하는 시스템의 이름 중 하나다. 그러기 때문에 이름의 의미도 [핵심]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그러니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블루스크린에서 KERNEL(커널) 이라는..

FAULTY_HARDWARE_CORRUPTED_PAGE 오류를 처음 접했을때에는 상당히 고민이 많이 되었다. 먼저는 이 오류가 어떤 인지도 모르겠고, 어떤 원인으로 뜬 것인지도 알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결론은 저 오류를 통해서 내 작업을 제대로 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아무래도 인터넷 커뮤니티의 모든 사람들의 해당 내용들을 살펴보면 위 내용에 대해서 직역을 해서 생각하는 경우가 일반인것 같다. 위 내용에서 유추해볼 수 있는 것은 하드웨어 오류라고 볼 수가 있다. 윈도의 장점은 바로 하드웨어의 호환성이 아주 넓다라는 것이다. 이 미칠듯한 호환성으로 인해서 모든 사람들이 윈도를 사용하고 있으니까, 그 파급력과 영향력이 대단하다. 그리고 작업하기에도 매우 편리하다. 솔직히 맥의 경우에는 크롬 설치하나 하는 것..